1학년 1학기
디자인 Ⅰ Design Ⅰ
자신의 삶에 대한 꿈과 목표, 자아 인식, 대학 생활과 자기관리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마인드맵 그리기, 대학 생활을 설계도 만들기 등을 통해 대학 생활을 로드맵을 작성 - 사제동행형 수업
기초수학 Basic mathematics in university
소방공학에서 필요한 수학적 기초지식을 습득, 소방약제의 물리적 흐름을 유체역학의 기초지식으로 이해, 기본 물리량 압력, 온도, 속도, 가속도, 밀도, 비중량 등 물리적 개념과 차원을 이해하고 수리계산의 기초계산능력 배양
소방학개론 Fire Protection Theory
소방 전공과목을 이수하기 위한 기초과목으로 소방조직과 소방의 기능, 재난관리 등의 기본적인 소방업무 관련 내용과 소화약제, 위험물 성상, 연소이론 및 화재 소화이론 등의 화재공학 관련 기초이론을 학습하고 개괄적인 내용을 통해 소방의 전반적인 분야에 대한 기초지식을 학습
소방화학 Fire Protection Chemistry
연소 이론, 소화이론, 위험물질론 등을 공부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 화학이론을 소개하는 과목으로 물질의 명명법과 특성, 산화반응을 포함한 각종 화학반응의 형태에 따른 특성 등을 학습?
소방관계법규 Commentary of Fire Protection Laws
소방공무원 및 소방기술자로서의 직무능력을 함양시키고 소방 관련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을 위해 소방관련 기본 법률에 대한 과목으로 소방기본법,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공사업법, 위험물안전관리법과 관련 법의 시행령, 시행규칙 등을 학습
소방전기기초 Introduction of Fire Protection Electric System
전기에 대한 기초부터 응용에 이르는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여 소방전기기설에 대한 이론적 해석 및 작동원리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전자기적 현상을 습득, 소방전기설비에 필요한 기본적인 회로해석에 대한 기초 이론 학습
경보설비 시공 Installation Fire Alarm Facility
화재시 건축구조물 내 재실자에게 화재발생 사실을 알려주기 위한 경보설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시공상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공관련 도면의 이해와 소방전기관련 지식의 습득, 경보설비의 작동원리의 이해
재난과 안전 Disaster and Safety Control
재난관리를 재난관리과정을 중심으로 재난완화, 재난준비, 재난대응, 재난복구에 관한 이론들을 소개하고 재난 및 재난관리의 개념, 재난의 유형, 재난의 특징, 재난관리의 단계, 재난관리체계 등을 다루고, 또한 현장 안전관리자로서의 직무능력을 함양시키며, 산업안전의 개요, 관리조직과 운영, 불안전 행동과 각종 주요 안전 활동 그리고 안전추진 방법 학습
1학년 2학기
디자인 Ⅱ Design Ⅱ
자신의 삶에 대한 꿈과 목표, 자아 인식, 대학 생활과 자기관리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마인드맵 그리기, 대학 생활을 설계도 만들기 등을 통해 대학 생활을 로드맵을 작성 - 사제동행형 수업
코딩 & SW활용 Coding & Application of Software
프로그램의 절차와 알고리즘을 이해하여 창의력을 함양하고, 다양한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실습을 통한 앱 코딩의 기초와 응용 능력배양, 파워포인트, 엑셀 등을 이용한 발표능력 및 업무의 처리능력을 향상
기본설계 Design of Fire Protection System
기본설계는 관련도서 검토, 소방시설 계통도 작성, 기준층 평면도 작성, 장비배치도 작성, 예상 공사비 산출을 통해 기본적인 사항을 설계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피난·소화용수설비 시공 Installation Evacuation and Fire Fighting Water Facility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용수설비의 시공과 화재발생시 재실자의 피난을 돕기위한 인명구조설비 및 피난설비의 설치 및 시공 능력을 배양한다.
소방시설유지보수 Maintenance of Fire Protection System
소방시설 유지보수는 소방시설 유지보수를 위하여 시설물 현황파악, 주ㆍ월ㆍ연간 점검계획작성, 실시, 성능시험, 보수할 문제점 파악, 노후설비를 보수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위험물취급 Use of Hazardous Materials
허가 받은 위험물취급소와 이동탱크저장소에서 위험물의 안전취급 기술배양
수계소화설비 시공 Water system fire extinguishing facility Construction
수계소화설비의 실시 설계도면에서 제시한 시공상의 설계기준을 준수하여 인허가도면, 시공도면, 계산서, 공사시방서, 공사비내역서, 설계완료 보고서 등을 작성하고 준공도서를 확인하는 능력배양
수계소화설비 실시설계 Design of Water System Firefighting System
기본설계에서 제시한 수계소화설비 설계기준에 따라 인허가도면, 시공도면, 계산서, 공사시방서, 공사비내역서, 설계완료 보고서의 작성과 준공도서를 확인하는 능력배양
소방시설 점검행정 Fire Protection System Inspection Administration
소방대상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연간점검을 시행하기 위하여 점검계획을 수립하고 견적의뢰, 발주, 점검을 실시하고 보고서 작성ㆍ제출, 대책을 수립하는 능력배양
점검장비 관리 Inspection Equipment Management
소방시설 안전점검을 위한 점검장비의 작동원리와 사용방법을 숙지하고, 설비점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장비성능을 유지하기위한 관리, 점검장비의 작동원리의 이론적 이해 및 안전점검시 주의사항의 기술적 이해
2학년 1학기
진로커리어코칭I CDR Career Coaching I
자신의 인생목표 수립 및 발표, 진로장벽에 대한 문제해결,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및 발표 역량 향상
소화활동설비와 피난설비 실시설계 Design of Evacuation and Fire Extinguishing Facility
화재진압을 위하여 투입된 소방대원 및 관계인을 보조하기 위한 소화활동설비와 재실자의 안전한 피난을 위한 설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구체적인 설비의 실시설계를 위한 안전요소와 구조적 신뢰성 확보방안을 습득
설계 계획 준비·수립 Plans of Fire Protection System Design
소방시설 시공을 위한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설계단계부터의 오류 및 불안전요소를 최소화하여 소방설비의 화재에 대한 적응성을 갖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재난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공학적 세분화 설계계획과 단계별 계획준비요소의 습득능력을 배양한다.
자율점검 Self-Check Activity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안전점검을 통해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고, 재난시 피해 최소화를 위하여 설비의 주기적인 점검과 설비작동 신뢰성을 확보, 점검장비의 작동원리의 이론적 이해 및 안전점검시 주의사항의 기술적 이해
가스계 물분무등 소화설비 실시설계 Design of Water spray and Gas system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본설계에서 제시한 설계기준에 따라 인허가도면, 시공도면, 계산서, 공사시방서, 공사비내역서, 설계완료 보고서의 작성과 준공도서를 확인하는 능력이다.
소화기구·수계소화설비 점검 Check of Water-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Fire extinguisher
소화기구ㆍ수계소화설비 점검은 소화설비의 정상작동을 위하여 소화기구, 옥내ㆍ외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ㆍ포소화설비를 점검능력 배양
제연설비 실시설계 Design of Smoke Control System
연기의 흐름, 온도, 상승기류 등을 파악하여 이의 방안으로 기계적 환기설비 및 풍로 등을 설치하여 진화 이전의 감지, 경보, 제연, 피난, 화재진압의 기술적과정을 학습
가스계소화설비시공 Construction of Gas system extinguishing facilities
화재발생 시 건축구조물내 가스계소화설비의 원리와 작동법을 이해하고 시공상의 오류를 최소화하여 시공관련 도면의 이해와 적용에 대하여 숙지하여 현장에서 공정상의 시공법을 학습
가스계ㆍ분말소화설비점검 Inspection of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in Gas and Powder
소방대상물의 특성상 가스계 화재의 경우 피해의 확산과 진화를 위한 분말소화설비의 특성과 재원을 파악하여 화재현장에서 실효성을 유지하도록 점검 기술 배양
소방계획 수립 Fire Control Plan Establishment
소방시설 시공을 위한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하며 설계단계부터 시공상의 오류와 불안전 요소를 최소화하여 소방안전관리를 위한 적응성을 배양하며 유사시 재난에 대한 방재성능을 향상을 위한 설계계획과 설계프로세스에 의한 판단과 기준을 학습
2학년 2학기
취·창업실무 I Practice of Employment & Start-upⅠ
전공역량을 향상하여 진로 장벽에 대한 문제해결,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및 발표 등을 통하여 미래역량을 강화
소방전기설비 실시설계 Design of Firefighting-Electrical System
기본설계에서 제시한 설계기준에 따라 설계도면, 자가발전설비 계산서, 공사시방서, 공사비 내역서, 설계완료 보고서를 작성하는 능력배양
경보설비점검 Inspection of Fire Alarm Facility
경보설비의 정상작동을 위하여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경보설비, 비상방송설비,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점검하는 능력배양
저장·취급 위험물 분류 Classification of Hazardous materials in Storage and Handling
관련 물질자료를 수집하여 성상을 파악하고, 류별로 분류하여 위험성을 표시하는 능력등 화학위험물 공정의 안전성확보를 위한 기술 습득
행정법총론 Fire Administrative Law
소방행정에 대한 기초이론 및 일반 행정법 이론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설명하고, 국가, 지방 및 민간 소방조직법, 소방관청의 권한의 대리와 위임, 소방관청의 상호간의 관계, 소방공무원법과, 소방행정 작용법에서는 소방처분(소방작용상의 행정행위), 비권력적 소방작용, 소방상 의무이행 확보수단 등을 학습
소방관리 캡스톤디자인 Capstone Design of Firefighting Administration
실무현장에서 수행하는 프로젝트방식의 졸업설계를 의미하며 기획, 계획, 설계로 이어지는 프로세스와 규모, 형태, 적용 테마별 대안개발을 학습하여 하위역량 과목을 유기적으로 조합함으로써 미래학습역량을 확보